재활치료/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뇌졸중 재활

Q9: 재활의학에서 사회사업가의 역할은 어떻게 되는지요?

Re-Happy-Doc 2016. 12. 14. 04:07

재활치료가 혹은 재활의학이 다른 의학의 분야와 가장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바로 사회사업가의 역할입니다. 일단 환자들이 병을 얻어 장애를 가지게 되면, 환자들은 신체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위상도 바뀌게 됩니다. 즉 직장인이라면 아무래도 직장을 잃게 되고 경제력이 왕성한 중년에 쓰러지면 심할 경우 가족마져도 붕괴가 됩니다. 사회사업팀은 바로 환자 뿐만 아니라 환자 주변의 가족의 상태를 파악하여 환자와 가족에게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먼저 사회경제적 평가를 통해서, 의료비 부담을 줄여 주는 상담을 진행합니다. 지금 뇌졸중을 인해서 장애가 심하게 되면, 아무래도 경제력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당장 치료비가 부담이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의료보험에서 의료보호로 전환 방법을 설명하거나 지금 당장 치료비가 급할 경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긴급재난의료비 지원이나, 종교 방송을 통한 모금 운동도 진행하게 됩니다. 

한편, 사회 사업가들이 뇌졸중 환자들에게 하는 중요한 역할은 환자의 퇴원 및 사회 복귀 안내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뇌졸중 재활은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그러나 환자와 가족들은 받아 들이기가 어렵습니다. 장애를 없애고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병원에 따라 입원 기간이 정해진 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부당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병원은 공공의 재산이고, 또한 전공의의 수련 교육의 장이며,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이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재활치료를 계획하고 있다면, 재활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이나, 요양병원으로 옮겨야만 합니다. 사회사업팀에서는 여기에서 가족 면담을 통해서,  급성기 이후 이용 가용한 재활치료에 대한 안내와 함께, 뇌졸중 이후 가정 복귀 및 사회 복귀를 위해서, 장애인 복지 안내 및 장애 등급 신청, 장기 요양 보험 신청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재활의학에 있어 사회사업가의 역할이 어느 의료 직종 못지 않게 중요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