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happy-doc/재활의학은........

재활의학과는 장애인들만 보는 과인가요?

Re-Happy-Doc 2015. 1. 12. 20:05

지금은 그러시는 분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재활의학과를 재활용의학과(?) 라던지, 장애인만 상대로 하는 의학의 학문 분야로 생각하시는 분이 많이 있습니다. 


재활의학의 영어식 명칭은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입니다. 엄격하게 번역하자면 "물리의학 및 재활의학"이 되겠지요. 그래서 중국에서는 다시 건강을 되찾는다는 의미에서 復康醫學 혹은 康復醫學 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번역을 하지 않고 리하비리(リハビリ)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물리의학은 물리적 요법을 이야기 하기도 하고, 근골격의학을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즉 온열, 냉습포, 견인, 맛사지 등 화학적 요법인 약물 치료가 아니라 자연의 치료 방법을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관절염이 심하면 온천에 가는 것, 혹은 어깨가 결리면 맛사지 하는 것이 바로 이런 치료 방법이 되겠지요. 


치료적 방법 이외에도  Physical medicine의 내포된 의미 중에 하나가 바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입니다.  


근골격계 질환을 보통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많이 진단을 받습니다. 그러나 이런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는 주로 수술적 접근으로 질병을 치료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외상이 아닌 이상, 많은 근골격계 질환이 진단만 올바로 된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보존적인 치료로만으로 거의 대부분이 완치가 됩니다. 또한 이런 근골격계 질환에 있어 수술적 치료 말고 이전에 말씀드린 물리적 방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전통적인 온열, 견인, 맛사지도 있지만 비수술적 접근방식인 주사치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수술은 최후의 방법으로 두어야 합니다. 내과적인 방법이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을 때 수술적 접근을 해야합니다. 수술을 하더라도 완치가 된다는 보장은 아무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re-happy-doc > 재활의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의학은 어떤 과인가요?   (0) 2015.01.12